본문 바로가기

Temporary Home

Temporary Home - Dr. Larissa Hjorth ,2011

 

Temporary Home

성민화

홈 메이드: 장소성의 위치 정하기

라리사 효스

Dr. Larissa Hjorth,

artist and senior lecturer,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RMIT University, Melbourne, Australia.

 

성민화는 일상생활의 초상을 그려낸다. 그녀의 현미경 아래에는 건물들, 방들, 물건들이 모두 놓여진다. 그녀의 그림은 물질 문화가 담고 있는 이야기에 대해 사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녀는 이러한 공간과 장소들이 그 주인의 역사와 인격을 반영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 그녀는 이러한 사물들이 삶의 족적에 의해 표현되는 방식을 그려낸다.

성민화의 작품에서 사물들은 겉으로 보이는 것과 다르게 나타난다. 성민화는 세밀한 스케치를 쉽고 편안하게 보이도록 한다. 그녀는 이전의 작품들에서 물질성과 주제 모두에 대한 자신의 감각을 통하여 보기(looking)와 응시(seeing)의 차이를 표출했었다. 그녀의 작품을 들여다보면 물질 문화가 어떤 방식으로 그 장소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 그토록 많은 것들을 말할 수 있는지를 알게 된다. 그녀는 익숙한 장소와 사물들의 연대기를 보여주고, 그곳을 통하여 관람자들이 그것들에 친숙해지게 하며, 이러한 친밀함에 대한 감각은 우리로 하여금 생각을 하게 만드는 동시에 관음증적 감각을 일깨운다. 그녀의 호기심은 그녀가 공간, 장소, 그리고 비-장소[i]를 통해서 우리를 이끌어감에 따라 우리의 호기심이 되며, 그 안에서 그녀의 친숙한 공간들은 우리의 것이 되고 낯선 장소는 친밀한 장소가 된다.

Temporary Home에서, 성민화는 그녀 역시 살고 작업하는 경기창작센터의 거주작가들의 공간에 주목한다. 그녀는 우리를 많은 사람들의 임시적인 집으로 초대한다. 이 공간들은 한국과 외국 출신의 레지던시 작가들에게 있어 혼종적인 임시적인 거주지이면서 작업장이다. 일과 삶이 연결되어 있는, 작가의 유동성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바일 미디어에 의해 점점 더 증대되는 최전선에 서서, 이러한 시적인 그림들은 개인이 임시적인 공간에 거주하는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작가들의 실천과 그에 수반되는 유동성의 현재적 조건에 대한 실마리는 컴퓨터나 mp3플레이어와 같은 필수적인사물들을 통해 제시된다. 그녀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수많은 전자제품의 전선들처럼, 이러한 테크놀로지는 작가들을 지리적으로 자유롭게 해주면서 동시에 그들의 다른 거주지에 공존하게 함으로써 무선의 형태를 가진 끈이 되기도 한다. 여행가방은 더 이상 현대적 유동성에 대한 은유가 아니다. 작가들의 임시거처에 대한 그녀의 그림이 대단히 간결하게 보여주는 것처럼, 여행가방은 노트북, mp3플레이어, 혹은 휴대폰처럼 대단히 개인적인사물이다. 작가와 그들의 유동성의 조건에 대해 성민화가 보여주는 다양한 이야기들은 후기산업주의의 시대에 우리는 더 이상 우리가 하는 일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소비하는 것에 의해 규정된다는 사실을 조명하고 있다 [ii].

집처럼편안하기를 바라는 희망을 가지고서 우리가 임시적 공간에 거주하고 있을 때 그 곁에 있는 물질적 흔적들에 초점을 둠으로써, 성민화의 작품은 유동성의 시대에 집에 있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의 양가성을 그려내며, 임시적인 집에 대한 이러한 사색은 각각의 개인이 어떤 공간에 거주하는 방식의 다양함을 강조한다. 그녀의 모든 그림에서 관광객, 여행, 인류학자를 일견할 수 있다. 그 그림들은 우리가 곁에 두기로 선택했을 뿐 아니라 우리를 선택하기도 한 사물들의 현실적이고도 상징적인 무게를 상기시킨다. 사물의 이러한 연대기를 통해서[iii], 성민화의 작품은 우리로 하여금 집처럼 편하게 느낀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숙고하도록 한다. 사물들은 그것들의 소유주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삶을 가지고 있다. 그녀가 그리는 이미지들은 사물의 소유주의 삶의 방식, 취향, 그리고 문화적 자본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주는 사물의 계보학과도 같다 [iv]. 거주자의 미학과 취향, 즉 문화 자본은 이러한 장소들에 반영되어 있으며, 이것은 집을 구성하는 것들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v]. 이러한 사물들은 그 소유주의 삶을 드러낸다. 범죄현장을 조사하는 탐정처럼, 그녀의 법의학적인 그림들은 사물의 소유주의 정체성을 세심하게 보여준다.

조용하며 정밀하게, 성민화의 이미지들은 사람들과 그들의 물건들이 서로 뒤얽히고 연결되는 방식이 어떤 식으로 가능한지를 보여준다. 한 사람의 공간이 끝나고 다른 사람의 공간이 시작되는 곳이 어디인지 -말 그대로의 의미 그리고 은유적인 의미 모두에서- 가 항상 명백한 것은 아니다. 그녀는 우리 관람자들이 그녀와 같이 탐정이 되도록 초대한다. 그녀는 이러한 상호 연결된 삶의 퍼즐 속에서 단서들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는 지리적인 친밀함을 공유하는 이들이 어떻게 비슷하면서도 다른지를, 집에 있는 것 같으면서도 집으로부터 떨어져 있는지를 보게 된다. 이러한 임시로 머무는 집들은 또한 일과 삶이 만나는 공간들이며, 성민화는 그것들을 포착함으로써 모바일/글로벌 미디어의 시대에 노동이 갖는 불안정한 성격의 일부를 보여준다.



[i] 마크 오제의 -장소로서의 일시적 장소라는 개념을 -의미화하면서, 성민화의 임시거처는 장소와 -장소 간의 긴장을 보여주는데, 여기에는 거주자가 해당 장소에 감정과 의미를 부여하려는 투쟁이 존재한다. 이러한 -장소(예를 들어, 슈퍼마켓과 공항) 장소(예를 들어, ) 사이의 긴장은 성민화의 작가들의 방에 대한 이미지에서 명백하게 구현되고 있다. Augé, Marc (1995) Non-Places: Introduction to an Anthropology of Supermodernity, London: Verso.

[ii] Daniel Bell (1973)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A Venture in Social Forecasting, Daniel Bell. New York: Basic Books.

[iii] Igor Kopytoff (1986) 사물의 문화적 연대기 과정으로서의 상품화에 대해서는 A. Appadurai (ed.) The social life of things. Commodities in cultural perspective, pp. 64–91 참조할 .

[iv] Pierre Bourdieu (1984 [1979])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ment of Taste, trans. R. Nic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v] Alain de Botton (2007) The Architecture of Happiness, New York: Penguin.

Temporary Home

Sung Min Hwa

Home made: locating a sense of place

Dr. Larissa Hjorth,

artist and senior lecturer, School of Media and Communication, RMIT University, Melbourne, Australia.

Min Hwa Sung makes portraits of the everyday. Buildings, rooms and objects all go under her microscope; her drawings provide a space to reflect upon the stories of material culture. She exposes the ways in which these spaces and places reflect a history and personality of their owners. In short, how these things are marked by traces of life.

In Sung’s work things are not as they first appear. Sung makes meticulous sketches look easy and relaxed. In previous works Sung has exposed the difference between looking and seeing by both her sense of materiality and subject matter. The more one looks at Sung’s work, the more one learns about how material cultures can say so much about the occupants and their culture. She exposes the biographies of familiar sites and objects and, in doing so, she renders them intimate to the viewer. This sense of intimacy allows us to both contemplate and become a voyeur, her curiosity becomes ours as she guides us through spaces, places and non-places[i] in which her familiar spaces become ours, a strange place become intimate.

In Temporary Home, Sung turns her eye to resident artists’ spaces at Gyeonggi Creation Center where she also lives and waorks. She invites us into many people’s temporary homes. These spaces are hybrid temporary homes and workspaces for korean and international residency artists. Spearheading work-life practices, in which the increasingly mobilities of the artist is accompanied by networked mobile media, these poetic drawings reflect upon how one inhabits temporarily spaces. Clues about the contemporary condition of artists’ practice and attendant mobilities are signposted through ‘essential’ objects like computers and mp3 players. Like the various wires that can be found in the drawings, these technologies both function to set artists free to geographically move and to be simultaneously co-present in their other homes, whilst also being a wireless leash. The suitcase is no longer the metaphor for contemporary mobility, rather, as Sung’s drawings of artists’ temporary homes illustrates so succinctly, it is such ‘personal’ objects like laptops, mp3 players and mobile phones. Sung’s various stories about the condition of the artist and mobility highlight that in an age of post-industrialism, we are no longer defined by what we do but consume[ii].

By focusing on the material traces that accompany us when we inhabit temporary spaces in the hope to feel ‘at home’, Sung’s work sketches the ambivalence of what it means to be at home in an age of mobility. These musings on temporary homes also highlight the different ways in which one can inhabit a space. In all the drawings we are provided glimpses of the tourist, traveling and anthropologist. We are reminded of the symbolic, not just practical, weight of the objects we choose to surround ourselves with, and the objects that choose us. Through these biographies of objects[iii], Sung’s work asks us to reflect upon what it means to feel at home. Like their owners, things have a social life. Sung’s images are like object genealogies which often tell much about the owner’s lifestyle, taste and cultural capital[iv]. The aesthetics and taste — in short, the cultural capital — of the occupants are reflected in these places; testaments to the multiplicity of what constitutes home[v]. These objects expose the lives of the owner. Like a detective investigating a crime scene, Sung’s forensic drawings meticulously expose the owner’s identity.

With quiet precision Sung’s images show how intertwined and interconnected people, and their things, can be. Where one person’s space ends and the next begin, both metaphorically and literally, are not always clear. Sung invites us viewers to become detectives like her. She provides us with the clues in the puzzle of these interconnected lives. We see how these people, all sharing a geographic intimacy, are both similar and yet different, home and yet away. These temporary homes are also spaces in which work and life merge, and by capturing them, Sung identities some of the precarious qualities of labour today in an age of mobile and global media.



[i] Re-purposing Marc Augé’s notion of transitory places as non-places, Sung’s temporary homes illustrate a tension between place and non-place in which there is a struggle by the occupant to render the space with emotion and meaning. This tension between the non-place (such as supermarkets and airports) and place (such as home) is clearly articulated in Sung’s images of the resident’s rooms. Augé, Marc (1995) Non-Places: Introduction to an Anthropology of Supermodernity, London: Verso.

[ii] Daniel Bell (1973)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A Venture in Social Forecasting, Daniel Bell. New York: Basic Books.

[iii] Igor Kopytoff (1986) The cultural biography of things: commoditization as process, in A. Appadurai (ed.) The social life of things. Commodities in cultural perspective, pp. 64–91.

[iv] Pierre Bourdieu (1984 [1979])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ment of Taste, trans. R. Nic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v] Alain de Botton (2007) The Architecture of Happiness, New York: Penguin.

'Temporary Ho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mporary Home 2011_soloshow  (0) 2012.10.11